■ 의결 안건
Ⅰ. 회장 선출의 건
[정 관]
제20조(임원의 선임 및 해임)
② 회장과 감사는 총회에서 선출하며 부회장은 이사회 의결을 거쳐 선임하고 총회에서 추인한다.
제32조(총회의 의결방법)
① 전략 - 총회의 의사는 출석회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한다. 다만, 가부동수인 경우에는 부결된다.
회장 선출 안건 상정 : 전원 찬성 의결
- 신임 공동회장 선출 : 유태현 KMDA부회장, 염규호 KMDA이사
Ⅱ. 부회장 및 이사 선임의 건
[정 관]
제20조(임원의 선임 및 해임)
② 회장과 감사는 총회에서 선출하며 부회장은 이사회 의결을 거쳐 선임하고 총회에서 추인한다.
부회장 및 이사 선임 안건 상정 : 전원 찬성 의결
- 부회장 선임 : 신임1명 권오병(現 KT전국대리점협의회장 권한대행)
유임4명 박대학,장효덕,김영민,고주원
- 이사 선임 : 확정33명(유임28명, 신임5명)
유보 6명(※ ‘21년 임원회비 미납으로 ’22년 3월말까지 완납시 이사 선임)
사퇴 7명(※ 임기만료 및 본인 의사로 사의 표명 7명)
Ⅲ. 2021년 사업결산 및 2022년 사업계획 의결의 건 : 전원 찬성 의결
2021년 사업성과 보고
① 5개 산하단체 대표 연합위원회(5Star Alliance Committee) 구성 운영
- 이사회 의결 전 ‘의사결정 합의 기구’로 2021년 ‘해결과제’ 업무 추진
② 방통위 상생 위원회
- 상생 협의회 개최, 법 개정회의 참여, 방통위 규제 관련 개선 요구 집회 등
③ 동반위 상생 위원회
- 중기부3차 경쟁력 강화사업 협약 체결/이동통신 판매업 대˚중소기업 상생협약 체결 연장
④ 자급제 시장 대응 활동
- 자급제 시장확대 저지를 위한 과기부/방통위,통신사,제조사,국회,언론 등 다각도 활동
⑤ 알뜰폰(대기업/금융사) 대응 활동
- 통신3사 자회사 및 금융사(KB리브엠)에 대한 알뜰폰 시장 확대 저지 활동 전개
⑥ 개인정보보호자율규제 활동
- 2021년 임시단체로 6개월 활동 평가 → 개인정보보호자율규제 단체로 정식 지정(10월)
2021년 결산 및 감사보고
- 결산 보고 및 감사의견서 보고. ‘감사결과 : 적정의견’
2022년 사업 계획
1. 조직 운영 계획
① 총회 / 이사회 : 정관에 따라 기존과 동일하게 운영
② 6개단체 대표 최고회의(가칭) : 중요 사안에 대한 ‘이사회 의결 前 최고 논의 기구’ 출범
③ 고문단 : 전임회장(조충현,강성호,이용걸)3명 고문단 구성, 중요 사안에 대한 고문 역할
④ 자문단 : 자문변호사(유용일,이청규,정성엽)3명, 자문노무사(박상준)1명
2. 중점 사업 이슈별 계획 (5대 이슈)
① 단통법 폐지 이슈
- 협회 입장 재확인, 대선캠프/언론/정부부처 별 활동 계획 수립 추진
② 자급제 및 알뜰폰 이슈
- 자급제 : 통신사향폰과 법적/제도적 불공정 상황에 대한 채별 해소 필요
- 알뜰폰 : 대기업(통신자회사) 및 금융사(KB리브엠)의 알뜰폰시장 장악 문제 해결 필요
③ 유통채널별 차별정책 심화 이슈
- 통신3사의 특수유통 차별정책 문제 및 특판시장 특가 공급 문제 해결 필요
④ 시장 축소정책(건전화,안정화,디메릿) 이슈
- 통신3사 시장축소정책으로 인한 유통시장 왜곡/붕괴 문제 해결 필요(지연개통 등)
⑤ 개인정보보호자율규제 단체 활동 이슈
- 개인정보보호자율규제 단체 정식 지정에 따른 협회 운영시스템 Version-UP 필요.
- 6개 단체 공동 참여 방안 모색 (이통사와 사전 협조 필요). 끝.
■ 의결 안건
Ⅰ. 회장 선출의 건
[정 관]
제20조(임원의 선임 및 해임)
② 회장과 감사는 총회에서 선출하며 부회장은 이사회 의결을 거쳐 선임하고 총회에서 추인한다.
제32조(총회의 의결방법)
① 전략 - 총회의 의사는 출석회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한다. 다만, 가부동수인 경우에는 부결된다.
회장 선출 안건 상정 : 전원 찬성 의결
- 신임 공동회장 선출 : 유태현 KMDA부회장, 염규호 KMDA이사
Ⅱ. 부회장 및 이사 선임의 건
[정 관]
제20조(임원의 선임 및 해임)
② 회장과 감사는 총회에서 선출하며 부회장은 이사회 의결을 거쳐 선임하고 총회에서 추인한다.
부회장 및 이사 선임 안건 상정 : 전원 찬성 의결
- 부회장 선임 : 신임1명 권오병(現 KT전국대리점협의회장 권한대행)
유임4명 박대학,장효덕,김영민,고주원
- 이사 선임 : 확정33명(유임28명, 신임5명)
유보 6명(※ ‘21년 임원회비 미납으로 ’22년 3월말까지 완납시 이사 선임)
사퇴 7명(※ 임기만료 및 본인 의사로 사의 표명 7명)
Ⅲ. 2021년 사업결산 및 2022년 사업계획 의결의 건 : 전원 찬성 의결
2021년 사업성과 보고
① 5개 산하단체 대표 연합위원회(5Star Alliance Committee) 구성 운영
- 이사회 의결 전 ‘의사결정 합의 기구’로 2021년 ‘해결과제’ 업무 추진
② 방통위 상생 위원회
- 상생 협의회 개최, 법 개정회의 참여, 방통위 규제 관련 개선 요구 집회 등
③ 동반위 상생 위원회
- 중기부3차 경쟁력 강화사업 협약 체결/이동통신 판매업 대˚중소기업 상생협약 체결 연장
④ 자급제 시장 대응 활동
- 자급제 시장확대 저지를 위한 과기부/방통위,통신사,제조사,국회,언론 등 다각도 활동
⑤ 알뜰폰(대기업/금융사) 대응 활동
- 통신3사 자회사 및 금융사(KB리브엠)에 대한 알뜰폰 시장 확대 저지 활동 전개
⑥ 개인정보보호자율규제 활동
- 2021년 임시단체로 6개월 활동 평가 → 개인정보보호자율규제 단체로 정식 지정(10월)
2021년 결산 및 감사보고
- 결산 보고 및 감사의견서 보고. ‘감사결과 : 적정의견’
2022년 사업 계획
1. 조직 운영 계획
① 총회 / 이사회 : 정관에 따라 기존과 동일하게 운영
② 6개단체 대표 최고회의(가칭) : 중요 사안에 대한 ‘이사회 의결 前 최고 논의 기구’ 출범
③ 고문단 : 전임회장(조충현,강성호,이용걸)3명 고문단 구성, 중요 사안에 대한 고문 역할
④ 자문단 : 자문변호사(유용일,이청규,정성엽)3명, 자문노무사(박상준)1명
2. 중점 사업 이슈별 계획 (5대 이슈)
① 단통법 폐지 이슈
- 협회 입장 재확인, 대선캠프/언론/정부부처 별 활동 계획 수립 추진
② 자급제 및 알뜰폰 이슈
- 자급제 : 통신사향폰과 법적/제도적 불공정 상황에 대한 채별 해소 필요
- 알뜰폰 : 대기업(통신자회사) 및 금융사(KB리브엠)의 알뜰폰시장 장악 문제 해결 필요
③ 유통채널별 차별정책 심화 이슈
- 통신3사의 특수유통 차별정책 문제 및 특판시장 특가 공급 문제 해결 필요
④ 시장 축소정책(건전화,안정화,디메릿) 이슈
- 통신3사 시장축소정책으로 인한 유통시장 왜곡/붕괴 문제 해결 필요(지연개통 등)
⑤ 개인정보보호자율규제 단체 활동 이슈
- 개인정보보호자율규제 단체 정식 지정에 따른 협회 운영시스템 Version-UP 필요.
- 6개 단체 공동 참여 방안 모색 (이통사와 사전 협조 필요). 끝.